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Javascript 내용정리 (1)

프로그래밍

by 초코순쌀과자 2021. 12. 24. 20:53

본문

1. 변수

1) const

-> 한번 지정되면 값을 바꿀 수 없는 변수. const 변수 = 값 의 형태로 이용.

2) let

-> 값을 재할당 할 수 있는 변수. let 변수 = 값 의 형태로 이용.

 

ex)

const a = 5;
const b = 2;
let myName = "PJH";

a와 b는 const로, myName은 let으로 변수를 선언했다.

이 경우 a와 b는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없지만, myName은 "PJH"가 아닌 다른 값으로 재할당 할 수 있다.

ex)

let myName = "PJH";
console.log(myName);
//console에 PJH가 출력됨

myName = "ParkJeongHyun";//myName 값 재할당
console.log(myName);
//console에 ParkJeongHyun이 출력됨

//만일 const로 선언된 a와 b의 값이 재할당된 후 console.log를 통해 출력된다면?
//->error

정리.

fix할 값-> const

업데이트의 여지가 있는 값-> let

 

2. true, false, null, undefined

1) true & false

const amIHandsome = true;
const amIFat = false;

true와 false는 "" 없이 이용. ""가 들어갈 경우 (문자열 true) or (문자열 false)가 된다.

 

2) null & undefined

const girlfriend = null;
const girlfriends =;

null은 '해당 값이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채워져있다' 의 의미를 가짐. 변수 내에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이용.

undefined는 '해당 값이 정의되지 않음' 의 의미를 가짐.
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lobal 변수에 대해  (0) 2023.02.11
Javascript 내용정리 (5)  (0) 2021.12.30
Javascript 내용정리 (4)  (0) 2021.12.28
Javascript 내용정리 (3)  (0) 2021.12.25
Javascript 내용정리 (2)  (0) 2021.12.24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