퇴사맨이 쓰러지지 않는 개발블로그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퇴사맨이 쓰러지지 않는 개발블로그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38)
    • 프로그래밍 (30)
      • 코테 준비 (19)
      • 면접 준비 (0)
      • SQL (2)
      • 프론트엔드 (0)
      • 백엔드 (3)
    • CS (3)
    • 취업 (4)
      • 코테 후기 (2)
      • 면접 후기 (2)
    • it 이슈, 뉴스 (0)
    • 자유 (1)
      • 게임 (0)

검색 레이어

퇴사맨이 쓰러지지 않는 개발블로그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CSS

  • Javascript 내용정리 (5)

    2021.12.30 by 초코순쌀과자

  • Javascript 내용정리 (4)

    2021.12.28 by 초코순쌀과자

  • Javascript 내용정리 (2)

    2021.12.24 by 초코순쌀과자

  • Javascript 내용정리 (1)

    2021.12.24 by 초코순쌀과자

Javascript 내용정리 (5)

본격적인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, 간단한 함수 몇가지를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. 1. prompt() const age = prompt("How old are you?"); prompt() 함수의 간단한 예시이다.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How old are you?라고 묻는 창과 함께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뜬다. 2. parseInt() const age = parseInt((prompt("How old are you?")); parseInt()와 prompt()를 함께 사용한 간단한 예시이다. parseInt()는 string(문자열)을 number로 바꿔준다. 즉, "15"를 15로 바꿔준다는 얘기다. + ()안에 숫자가 아닌 다른 무언가가 들어있을 경우, NaN(Not a Number)을 출력한다..

프로그래밍 2021. 12. 30. 20:24

Javascript 내용정리 (4)

return의 이용 지금까진 console.log()를 이용하여 함수 등의 결과를 console에 표시했다. 물론 처음 배우는 입장에서 console.log()를 통해 매 단계의 결과를 확인하는것은 중요하다. 그러나 console.log로는 할 수 없는 작업이 있다. 바로 '결과값을 저장하여 불러오기' 이다. (사실 이게 맞는 표현인지는 모르겠다) return ex) const calculater = { add: function (a, b){ return a + b; }, }; const addResult = calculater.add(2, 5); console.log(addResult); 위의 코드는 Javascript 내용정리 (3)의 2.번과 비슷한 예시이다. 그러나 여기선 console.log 대..

프로그래밍 2021. 12. 28. 17:57

Javascript 내용정리 (2)

1. 배열(array) const alpabet = ["a", "b", "c", "d", "e"]; 위의 형태를 띄는것이 '배열'이다. 위 코드는 "alpabet 이라는 이름의 배열을 const를 통해 선언했으며, 해당 배열은 a, b, c, d, e로 구성되어 있다."라는 의미를 가진다. 1) 배열에서 항목 가져오기 const alpabet = ["a", "b", "c"]; console.log(alpabet[0]);//a 출력 console.log(alpabet[1]);//b 출력 //배열은 0부터 숫자를 셈. 첫번째->0, 두번째->1 ... 2) 배열의 추가 const alpabet = ["a", "b", "c", "d", "e"]; alpabet.push("f");//alpabet이라는 배열에 ..

프로그래밍 2021. 12. 24. 23:01

Javascript 내용정리 (1)

1. 변수 1) const -> 한번 지정되면 값을 바꿀 수 없는 변수. const 변수 = 값 의 형태로 이용. 2) let -> 값을 재할당 할 수 있는 변수. let 변수 = 값 의 형태로 이용. ex) const a = 5; const b = 2; let myName = "PJH"; a와 b는 const로, myName은 let으로 변수를 선언했다. 이 경우 a와 b는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없지만, myName은 "PJH"가 아닌 다른 값으로 재할당 할 수 있다. ex) let myName = "PJH"; console.log(myName); //console에 PJH가 출력됨 myName = "ParkJeongHyun";//myName 값 재할당 console.log(myName); //cons..

프로그래밍 2021. 12. 24. 20:53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퇴사맨이 쓰러지지 않는 개발블로그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